내부 환경 분석 한입
서비스 정의
카카오헤어샵은 ‘헤어샵 예약부터 뷰티 콘텐츠를 볼 수 있는 all-in-one 뷰티 플랫폼’을 목표로 하는 서비스입니다. 카카오는 첫 O2O 사업으로 뷰티 분야를 선택, 2016년 7월 뷰티샵 고객관리 솔루션 회사인 하시스를 인수하며 카카오헤어샵을 정식으로 출시했습니다.
수익모델
카카오헤어샵은 독특한 수수료 수익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헤어샵을 통해 예약이 이루어지면 첫 고객에 한해 25%의 수수료를 받지만, 재방문 고객들에게는 수수료를 받지 않습니다. 헤어샵이 부담해야 하는 수수료의 허들이 높지만, 광고부터 마케팅까지 포함이고 노출이 쉽다는 점에서 생각보다 수요층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외부 환경 분석 두입
O2O 서비스란?
앞서 말한 O2O 서비스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서비스를 서로 연결해 소비자의 거래 활동을 도와주는 새로운 방식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헤어샵을 이용하려면 오프라인에 바로 방문하거나 전화를 통해 했는데, 카카오/네이버 미용실 예약 같은 O2O 서비스로 온라인을 통해 편리하게 예약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O2O 시장 규모
서울 연구원에서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O2O 시장은 2014년 92억 달러에서 2022년 1,5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사업 카테고리도 음식점, 숙박업을 시작으로 헤어샵 같이 타 산업으로 광범위하게 확장되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보입니다.
서비스 분석 세입
이런 플랫폼 특징상 나타나는 서비스 특징들이 있는데, 네이버 미용실 예약과 다른 점을 중점으로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타일 기반 예약
첫 번째, 경쟁사 네이버 미용실 예약과 가장 큰 차이점으로 스타일북 메뉴가 있습니다. 일반 커머스의 기획전이나 자체 제작 콘텐츠처럼 헤어 스타일링을 확인할 수 있는데, 콘텐츠 내에서 해당 스타일링을 한 디자이너의 정보로 연결되어 바로 예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보입니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헤어 스타일을 찾고 DM이나 네이버 예약으로 시술을 예약하는 고객이 많은데, 이 과정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과정으로 보입니다. 현재 카카오 헤어샵의 주 고객층은 30-40대 여성이지만, 앞으로 다양한 DB를 구축할 수만 있다면 20대까지 유입시킬 수 있는 서비스 흐름이라 생각됩니다.
서비스 연계성
두 번째, 가장 큰 특징으로 기존 카카오 서비스들과 연계성이 좋다는 점이 있습니다.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 내에서 이용할 수 있고, 카카오맵에서 미용실 검색 시 카카오헤어샵 예약하기로 이동할 수 있어 일종의 광고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각 매장에서 플러스 친구로 쿠폰을 전달할 수 있는 강력한 마케팅 수단으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상세한 필터
세 번째, 상세한 정렬과 필터 기능이 있습니다. 네이버는 관련도/리뷰순 두 가지 정렬이 있지만, 카카오는 재예약 많은 순 같이 보다 상세하게 여섯 가지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필터도 1인미용실/ 남성전문 등의 1뎁스 구분보다 ‘길이 추가비용 없음/반려견동반가능’처럼 고객의 스타일을 고려한 필터가 있습니다.
총평 부스러기
전체적으로 기존 미용실 이용의 가장 큰 pain-point인 정보 비대칭을 잘 해결해주고 있는 서비스라 생각됩니다. 정보를 찾아가도 기장 차이라는 식의 이유로 실제 거래 시 금액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는데, 선결제 방식으로 진행되다 보니 고객 입장에서는 추가 비용이 없는 장점이, 미용실 입장에서도 노쇼 비율을 줄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고 보입니다.
특히 스타일링 기반 예약 서비스로 다양한 필터 구분 등을 통해 고객여정을 세밀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첫 고객에게 25%씩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이나 카카오의 문어발 확장 논란 등의 외부 이슈만 해결된다면 더 좋은 서비스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